민화 속 상징의 힘 ③ 모란과 봉황
모란과 봉황 – 부귀와 이상, 전통의 절정민화는 마음속 이상을 꽃으로 피우고, 하늘의 새를 내려와 앉게 만든다.화려함 속 절제된 기품, 모란민화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꽃이 무엇이냐 묻는다면,단연코 ‘모란(牡丹)’이라고 말할 수 있다.모란은 그 자체로 부귀와 영화, 풍요와 번영을 상징하는 꽃이다.조선 후기 서민들은 화려하면서도 복스러운 상징을 그림 속에 담기를 원했다.그 바람이 가장 풍성하게 표현된 것이 바로 모란이었다.모란은 꽃잎이 풍성하고 화려하며,잎은 부드럽고 굵직한 선으로 그려진다.채색은 진홍, 진분홍, 노랑, 주황까지 다양한 색조가 쓰인다.배경 없이 꽃만 단독으로 그려지는 경우도 많지만,나비나 새, 화병, 병풍 속 패턴으로도 자주 활용된다.민화 속 모란은 사실감을 넘어서 이상적 이미지에 가깝다...
2025. 6. 3.
민화 속 상징의 힘 ② 책거리, 물고기, 박쥐
책거리, 물고기, 박쥐 – 조선의 마음을 담은 상징들“민화 속 사물은 그냥 사물이 아니었다. 하나하나가 바람이고, 기도였으며, 삶의 언어였다.”사물에 바람을 담는 마음민화를 배운다는 건 단순히 그림을 그리는 일이 아니다.그 안에 담긴 뜻을 알고 나면, 그저 지나쳤던 소재들이 전혀 다른 의미로 다가온다.책이 단순한 지식의 상징이 아니라 삶의 자부심이 되고,물고기가 그려진 한 장의 그림이 번영과 흐름을 상징하게 된다.이번 글에서는 조선 후기에 유행했던 대표 민화 소재 세 가지,책거리, 물고기, 박쥐에 담긴 의미를 풀어보고자 한다.책거리 – 지식과 교양의 시각적 선언책거리는 조선 후기 민화의 대표적 정물화다.이름 그대로 책과 문방사우, 도자기, 화병, 향로 등이 함께 배치된 그림이다.책거리가 유행한 시기는 중..
2025. 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