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취미미술

민화 속 상징의 힘 ⑦십장생도 – 장수를 기원하는 열 가지 상징

by 스토리원스 2025. 6. 13.
그림은 사라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된다.
십장생도는 그 소망을 열 가지 상징으로 완성했다.

 

조선의 이상을 집약한 그림, 십장생도
십장생도(十長生圖)는 말 그대로
‘열 가지 장수의 상징(十長生)’을 한 폭의 그림에 담은 것이다.

 

조선 후기 궁중과 양반가, 상류층뿐 아니라 서민층까지 오래오래 건강하게 살고 싶다는 마음을 담아
이 십장생 그림을 병풍, 족자, 액자 형태로 집 안에 걸어두곤 했다.

십장생은 각기 다른 자연 요소, 동물, 식물을 조합해 하나의 이상 세계를 구성한다.
그림을 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평온해지고 무언가 좋은 기운이 흐르는 듯한 느낌을 준다.

 

십장생의 10가지 상징과 의미

아래는 십장생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열 가지 요소다.

각각의 상징이 어떻게 민화 속에서 표현되는지 정리해보았다.

1 해(日) 생명의 시작, 빛과 에너지의 근원. 붉게 타오르는 해는 가장 위쪽에 배치됨.
2 산(山) 영원불변의 존재. 단단하고 고요한 배경으로 그림 중심을 잡아줌.
3 물(川) 흐름, 생명, 불멸성. 계곡, 폭포, 강줄기로 유려하게 표현됨.
4 소나무(松) 사계절 푸름을 간직하는 장수의 대표 나무. 중심에 배치되며 곡선적인 선으로 생명력을 표현함.
5 구름(雲) 하늘과 신성함, 변화 속 안정감. 곡선과 소용돌이 형태로 부드럽게 배경을 감쌈.
6 바위(巖) 흔들림 없는 인내, 장대한 수명. 해와 함께 병풍 구도에서 산을 받쳐주는 존재로 등장함.
7 거북이(龜) 느리지만 오래 사는 장수의 상징. 강가나 물속 근처에 배치됨.
8 학(鶴) 고결함, 품위 있는 장수. 소나무 옆이나 바위 위에 서 있는 모습으로 표현됨.
9 사슴(鹿) 장수와 더불어 복을 함께 상징. 종종 불로초를 입에 물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짐.
10 불로초(芝) 신선의 약초. 장생의 본질을 상징하며, 종종 사슴이나 거북이 근처에 배치됨.

이상적 자연과 장수의 기원

십장생도는 한 명의 주인공이 있는 그림이 아니라,
모든 요소가 어우러져 하나의 이상 세계를 완성하는 그림이다.

 

이 안에서는 해가 지지 않고,
산은 무너지지 않으며,
물은 끊임없이 흐른다.

 

해는 생명을 비추고

산은 삶을 붙들고

물은 감정을 흐르게 한다

구름은 생각을 감싸고

소나무는 시간을 견딘다

 

그리고 그 속에서
거북이, 학, 사슴, 불로초는
우리의 몸과 마음이 조용히 오래 살아가길 바라는 상징으로 존재한다.



이건 단지 ‘장수’를 기원하는 그림이 아니라
‘하루를 잘 살아내고 싶은 마음’을 표현하는 그림이라는 것을.

조용한 힘, 조화로운 세계, 흔들리지 않는 감정.
십장생도는 그림이면서 동시에
마음의 구조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