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에서 자주 쓰이는 문양 해설 – 상징 속에 담긴 염원
한 송이 꽃, 한 마리 동물, 하나의 문양이 단순한 장식이 아니었다.조선 시대 민중의 마음속 소망과 신념, 삶의 이야기가화폭 위 문양 하나하나에 담겨 있었다.오늘은 민화 속 대표 문양들이 지닌 상징과 의미를 풀어보고자 한다.문양, 단순한 그림이 아닌 삶의 기호민화는 단순히 ‘예쁘게 그리는 그림’이 아니다.각각의 도상(圖像), 곧 문양은삶에 대한 간절한 기원이자,행복을 향한 바람의 시각적 표현이다.조선 후기 민화는 궁중화나 사대부 문인화와는 다르게서민의 현실과 소망이 직접 반영된 그림이다.그래서 병풍, 가정용 장식화, 혼례용 그림, 아기 돌 그림 등 생활 전반에 활용되었다.그림 속 호랑이는 단지 맹수가 아니고,책거리는 단지 책장이 아니다.이 모든 문양은 나름의 ‘상징 언어’로우리 조상들의 삶과 철학을 담고..
2025. 6. 24.
민화아트페어 2025 다녀온 날, 전통과 현대가 조화된 그림의 세계
붓끝에서 이어진 선들이 시대를 넘어 말을 걸어왔다.민화는 여전히 지금도 살아 움직이고 있었다전통미술의 오늘을 만나다 – K-MINAF 2025 입장6월 19일, 서울무역전시장에서 열리고 있는2025 대한민국 민화아트페어(K-MINAF)를 찾았다.입장권부터 기대감을 자극했다.연꽃과 학이 어우러진 배경 디자인은이미 전시장을 들어서기 전부터 민화의 기운을 전해주었다.3일간 열리는 이 전시는전통 민화를 중심으로 현대적인 재해석을 가미한 작품들, 민화 굿즈, 공예, 채색화, 목공예까지다채로운 장르가 함께 어우러진 민화 종합 축제다.감탄이 절로 나온 순간 – 작품으로 만나는 전통의 힘작품 중 가장 먼저 발길을 멈추게 한 그림은이해림 작가의 일월오봉도였다.정면 구성의 기운, 해와 달, 다섯 봉우리, 물줄기, 소나무가..
2025. 6. 19.